
[뉴스렙] 제주특별자치도 세계유산본부는 '반야사 소장 전적류'인 ‘지장보살본원경’과 ‘법집별행록절요병입사기’ 2책을 제주특별자치도 유형문화재로 지정 고시한다고 5일 밝혔다.
이번에 유형문화재로 지정되는 ‘지장보살본원경’과 ‘법집별행록절요병입사기’는 애월읍 신엄리 소재 반야사에 전해 내려오는 불서다.
‘반야사 소장 전적류’ 2책은 임진왜란 이전에 간행된 전래본이 극히 드문 희귀 판본으로서 간행 시기와 간행처, 시주자 명단과 각수가 확인되는 등 불교학 및 서지학 연구에 있어 중요한 자료적 가치와 중요성이 인정돼 제주도 유형문화재로 지정됐다.
‘지장보살본원경’은 지장보살의 중생 구제의 본원공덕을 설한 경전이다.
조선 중기인 1577년 전라도 부안의 등운암에서 판각하고 금산사에 목판을 보관했던 판본으로 전본이 매우 드문 희귀본임에 따라 사료적 가치가 높이 평가됐다.
또한, ‘법집별행록절요병입사기’는 고려 보조국사 지눌이 당나라 종밀의 저서인 ‘법집별행록’의 핵심 내용을 추리고 자신의 견해를 덧붙여 편집한 책으로 반야사 소장본은 1576년 속리산 관음사에서 판각하고 이를 인쇄한 목판본 1책이다.
1486년 전라도 규봉암 간본 이후 간행시기가 비교적 이른 시기의 것으로 조선 중기 불전 연구에 있어 학술적 가치를 지닌다고 평가됐다.
강만관 세계유산본부장은 “반야사 소장 전적류 2책은 임진왜란 이전에 간행돼 16세기 당시 불교사와 인쇄·출판활동 등을 살펴볼 수 있는 귀중한 자료”며 “역사적·학술적 가치를 지닌 숨은 유형유산들을 적극 발굴해 문화재 지정 확대에 노력해 나가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