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최초 민간 예술단체 <춤패 배김새> 초청 영남춤전이 오는 8월6일 오후 7시반 국립부산국악원 예지당에서 펼쳐진다. 이번 공연은 국립부산국악원이 부산을 비롯한 영남춤 활성화와에술인화합을 위해 7년째 열고 있는 2024 영남춤축제 ‘춤, 보고 싶다’의 일한으로 초청받아 마련되었다. 지난 1985년12월 경성대 최은희교수를 중심으로 네 명의 단원이 주축이 되어 ‘한국 전통춤을 바탕으로 지역 춤의 특성을 더해 당대의 이야기를 관객과 더불어 살려내는 삶의 춤을 실현’하고자 <춤패 배김새>를 창단한 지 어언 40년이 다되어간다. <춤패 배김새>는 암울했던 1980년대를 이겨내고 국가부도 위기의 1990년대 경제난 시기에도 어렵게 살아남아 2000년대와 2010년대를 거쳐 이제 2024년, 창단한지 만 40주년을 목전에 둔 부산지역 독보적인 민간 예술단체로 우뚝 섰다.
이번 공연은 <춤패 배김새>의 대표작인 ‘배김허튼춤’, ‘오방신장무’, ‘물맞이’를 재현하고 재구성한 것이다. 열림/배김/신명풀이의 세 마당으로 구성되며, 첫 번째 <열림마당>은 춤꾼 최은희가 첫 출연자로 나서 길의 열림과 소리의 이끌림에 따라 소매 한 자락 한 자락 하늘로 향기 품고 소망을 뿌려본다. 이어서 인류 생명의 원천인 물을 몸으로 맞이하는 물놀이굿인 ‘물맞이’와 맑은 물을 천지사방에 뿌리며 소망을 기원하는 ‘청수씻김’, 힘찬 바라의 소리로 악귀를 몰아내며 본격적인 무대를 여는 의식인 ‘대바라춤’과 다섯방위의 터를 다지는 ‘오방신장무’로 이뤄진다.
두 번째 <배김마당>에서는 ‘2024. 배김허튼춤’을 한바탕 풀어 보인다. 배김새의 대표적 레퍼터리인 ‘배김허튼춤’은 기본적인 허튼춤을 바탕으로 밀양백중놀이, 고성오광대, 동래학춤 등에서 보이는 토속성 강한 춤사위를 엮은 것이다. 배김마당에서부터 출연진 전원이 나와서 집단무를 선보인다. 마지막 <신명풀이 마당>에서도 출연진 전원이 어우러져 서로 몸짓과 소리에 흥을 돋우고 신명나게 소통하는 대동 춤판으로 나아간다.
<춤패 배김새>는 창단 직후 부산지역 특유의 활달한 몸짓을 살린 <무궁화 꽃이 피었습니다>를 시작으로 정신대, 원폭, 매춘, 환경오염, 낙태, 세월호 등 시대의 아픔을 표현하고 사회적 부조리를 고발하는 한편, 구체적인 표현과 상징, 은유를 견지함으로써 예술적 추상성애 치우치지 않는 기조를 유지해왔다. 1990년대부터는 소극장공연과 장르 확대를 위해 노력하였고, 1993년부터 2023년까지 만 30년간 일본 쓰시마 아리랑축제(조선통신사 재현 축제)에 정기적으로 참여해오고 있다. 이 과정에서 2017년 ‘조선통신사에 관한 기록’이 유네스코의 세계기록유산으로 등재되는 등 민간이 주도하는 한일 두 나라간의 국제 문화교류에도 적극 나서고 있다. 2021년12월 배김새 36주년 ‘길’ 공연에서 한국 창작무용의 경계를 넓히고 전통과 현대를 연결하는 새로운 개념의 크로스오버 창작무용을 선보이기도 하였다.
<춤패 배김새> 일동은 “앞으로 배김새 창단 40주년, 50주년도 선후배가 대를 이어 부산의 대표적 공연기록으로 자리매김토록 하며, 열악한 예술환경과 운영 여건에도 춤과 더불어 꾸준하게 매진해나갈 것”이라고 입모은다.
이번 공연의 총감독으로서 안무를 맡은 최은희 선생은 “삶이 곧 춤이며, 삶이 투영된 생명, 숨결과 몸짓이 조합된 살아있는 생명을 얽매임 없이 치열하게 표현해내는 과정이 한국 춤의 긴 여정”이라고 말한다. 그는 “삶의 불확설성을 춤을 통하여 밝히기 위해 우리 고유의 몸짓인 굿판, 탈판, 마당놀이판과 전통춤의 경계를 넘나들면서 인간과 사물에 대한 열린마음을 춤을 통해 발현하고자 한다”고 밝혔다. 최은희 선생은 민족미학연구소 이사, 우봉이매방보존회 이사, 국가중요무형문화재 제27호 승무이수자이며 경성대 무용학과 교수를 지냈고, 부산무용협회 회장, 제4회 대한민국무용제 대상(1982), 부산시립무용단과 울산시립무용단 안무자, 88올림픽 요트대회 개막식과 폐막식 <파도를 넘어서> 안무도 맡은 바 있는 전통 춤꾼이자 안무자이다.
이번 공연의 출연진과 스탶으로는 총감독 겸 안무 최은희, 예술감독 및 재구성 하연화, 대표 손미란, 연출 정미숙, 기획 김정원 등이며, 이들 대부분이 김민경 김지윤 이다영과 함께 출연한다. 음악은 남산놀이마당, 대금 김현일, 사진 박병민 등.
글=안봉모(전 민족미학연구소 편집국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