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마이니치신문>은 22일 '나눔의집은 왜 변질됐나, 위안부 시설의 분기점을 찾다' 제하의 보도를 했다. a4지 16페이지 분량의 집중보도이다.
'마이니치'는 "한국에서 위안부 할머니들을 지탱해 온 두 중심축이 이탈하는 사태가 벌어지고 있다. 정의연은 기부금 부정사용 의혹이 나눔의집은 복지법인의 축재 의혹이 불거졌다"고 했다.
이 신문은 지난 5월 19일 직원들의 내부고발을 기초로 나눔의집 의혹을 최초보도한 MBC 시사프로그램 <PD수첩>과 경기도 민관합동조사단 조사 보고, 나눔의집 설립 과정 등을 상세히 다뤘다.
민관합동조사단은 지난 11일 기자회견을 열고 나눔의집 법인과 시설 운영 문제를 지적했다. 송기춘 단장(전북대 교수)은 "남을 속여 재산을 취득한 행위는 상습적 사기, 업무상 횡령배임, 금액에 따라 특정범죄가중처벌법 위반에 해당한다"고 했다.
조사단은 지난 2015~2019년 5년 동안 나눔의집에 모인 기부금 88억원 가운데 위안부 피해 할머니들을 위해서는 2.3%인 2억원이 쓰였다고 했다. 간병인에 의한 할머니 학대도 지적했다.
송 단장은 "현재 법인 이사진이 앞으로 잘할 수 있을지 의문이 든다. 민간조사원 사이에서는 (현재 이사진이) 법인에 관여하게 해서는 안된다는 견해가 많다"고 했다.
그러면서 신문은 "이사회 멤버 교체 정도 쇄신으로 그칠까, 뒤에 있는 조계종이 새 이사를 보낸다면 구조는 바뀌지 않을 것으로 보고 운영 주체를 근본적으로 바꿔야 할까. 조사단 내부에서도 의견은 엇갈리는 듯하다"고 했다.
한국 최대 불교종단인 대한불교조계종 승려들이 연루된 횡령 의혹 관련해서 "이제 믿고 기부할 수 있는 단체가 없다"는 비판이 있고, 한국의 후원자들 일부는 기부금 반환 소송을 하고 있다고 했다.
또, 나눔의집 할머니 가운데는 임종할 곳이나 유산 상속을 원하는대로 선택하지 못한 경우도 있다고 했다.
신문은 관부재판 지원자 모임이 폭로했던 고 배춘희 할머니를 예로 들었다.
배 할머니는 임종 몇달 전부터 유산을 불교계 승가대학에 기부하고 싶어했다. 할머니는 <제국의 위안부> 저자인 박유하 교수에게 '나눔의집'을 나가고 싶다고도 했다. '나눔의집'은 박 교수의 배 할머니 면회를 거부했다. '나눔의집'은 배 할머니 서약서를 근거로 할머니의 재산을 가져갔다. 신문은 "평소 지장을 찍는데 서약서에는 도장이 찍혀 있었다 등을 이유로 할머니 유산을 가져가려고 당시 사무국장이 사문서 위조를 날조한 것으로 의심한다"고 했다.
신문은 "배 할머니 별세 1주일 후 박 교수는 '나눔의집'으로부터 명예훼손 혐의로 고소와 손해배상청구소송을 당했다"고 했다.
그러면서 "할머니 유산이 모두 나눔의집으로 간 것을 올해 5월 알고 놀랐다. (할머니로부터) 기부에 관한 상담을 받았고, 나눔의집을 나가고 싶으니 보호자가 돼 달라는 부탁을 받았다. (할머니를) 구해내지 못해 죄송하게 생각한다"는 박 교수 입장을 알렸다.
신문은 "민관합동조사단 발표에 나눔의집 법인 이사회가 18일 성명을 발표했다. '책임을 통감하고 처음으로 돌아가 운영의 혁신을 통해 국민의 신뢰를 회복하겠다'고 선언했지만, 성명을 자세히 살펴보면 대부분 조사단 지적에 대한 반론이다"고 했다.
그러면서 "나눔의집 법인은 업무상 미숙한 점과 회계 절차에서 미숙한 점이 있었다고 인정하면서도 관할 자치단체인 광주시와 경기도가 정기감사에서 지도했다면 그때마다 시정해 이 사태까지 겪지는 않았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학대에 대해서는 간병인이 부인하고 있다고 강조했다"고 예를 들었다.
신문은 "나눔의집 일본인 연구원이 '할머니들의 인권문제 개선요구서'를 지난 2011년 작성 배포했다. 후원금 사용처 등을 지적했지만 그는 해고됐다. 당시 지적된 것을 개선했다면 달라졌을 것"이라고 했다.
신문은 "현재 나눔의집은 코로나19 방역 대책으로 외부인 출입을 금하고 있다. "이옥선 할머니는 '예전에는 손님이 많이 왔는데 지금은 왜 안오느냐'고 한다"는 나눔의집 관계자 말을 전했다.
이 관계자는 "(할머니는) 교류를 통해서 자신이 잊혀지지 않고 있다는 것이 기쁘겠지요"라고 했다.
신문은 "민관합동조사단은 11일 중간발표에서 할머니 관련 기록은 긴급히 정리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지만, 생활관 보존은 언급하지 않았다"고 했다.
그러면서 "생활관 문제는 위안부 피해할머니들과 함께했던 30여 년을 비롯해 앞으로 어떻게 기록하고 어떻게 후세에 전할지의 문제이다. 이는 한국과 일본 시민사회의 몫"이라고 했다.